사당(祠堂)은 옛날부터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집이다. 한국에서는 삼국시대에 들어와 고려시대에 보급된 뒤 조선시대에는 이를 철저히 지켰다. 하지만, 지금은 이를 찾아보기 드물다.
가묘 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라 한다. 고례에서는 사당을 종묘 또는 예묘라고 하였는데, 주자의 ≪가례 家禮≫에서는 사당이라고 칭하여 이것이 통용되었으며 왕실의 종묘와 구별하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고대로부터 사당이 있었는데, 왕가의 전례로 시작하여 일반 가정에서 행하여야 할 절차까지 마련되어왔다.
우리 나라에 사당제도가 유입되기는 삼국시대부터라고 하겠으나, 일반화하기는 고려 말이며 조선 중기 이후에 와서 더욱 철저하게 실행된 것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남해왕 3년(6) 봄에 시조 혁거세의 묘(廟)를 세웠다고 하고, 또 36대 혜공왕 12년(776)에 비로소 5묘를 정하고 13대 미추왕을 김성(金姓)의 시조로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당은 집을 짓기 전에 먼저 지어야 하니 그 위치는 정침(正寢) 동쪽으로 하고, 사당이 있는 집은 종자(宗子)가 대대로 지켜야 하며, 부득이한 때를 제외하고는 헐지 않는다. 사당은 3칸에 5가(架)로 하되 안에는 전(磚)을 깔거나 나무판자로 마루를 깔고 그 위에 자리를 편다. 그리고 중간 도리 밑에 문을 만들어 중문(中門)이라 하고 칸마다 4문짝을 달아 분합문(分闔門)이라 한다.
분합문 밖에 3급(級)인 두 섬돌을 놓는데, 동쪽을 조계(祚階)라 하고 서쪽을 서계(西階)라 부른다. 사당의 향배(向背)는 앞을 남, 뒤를 북으로 보고, 만약 가세가 빈한하여 집터가 좁으면 다만 1칸만 세워도 된다.
사당 섬돌 아래에 터가 넓고 좁음에 따라 지붕을 올려 덮고 여러 집안 사람이 내외(內外)로 갈라 차례대로 서 있게 하는데, 이를 서립옥(序立屋)이라 한다.
神社(祠大厅) 3开展,包括(6)同名春Hyeoggeose (廟)叛逆,和36 TheBook坟墓只有12 años (776) 5 Hyegong TheBook NYT罗寺和13 s.楚国王金晟(姓) TheBook同名说. 寺是必须TheBook前. Cable Plow一座房子,是位于东面TheBook常数随地吐痰(寢),在房子里TheBook神社必须至于种子(信州柔道子),除了不可避免TheBook事情当船体. Sadang 3汗在5 (框架)是,在.前(磚)或在木板地板到位. 中间TheBook檩条言底部TheBook门(门)来和汗可以处理分割衡量每个4门(分闔门). 三级门可以处理分割(級)把两个石头.放在岛上,特许权(祚阶)东部和西部TheBook西溪(阶). Sadangyi去南方,前面(向背). (边界等),屋内的几名人士的关怀下,随着分裂时代从嘴唇到玉(序,名古屋).
การแปล กรุณารอสักค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