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 년대 에는 남북 분단 으로 인해 남한 과 북한 의 문학 이 각기 독자적 으로 발전 하였다 . 1950 년대 의 한국 문학 은 전쟁 으로 인한 상흔 을 기록 하 고 , 이를 치유 하기 위해 문학적 노력 을 기울 였다 전후 문학 을 대표 하는 실존주의 문학 은 여기서 발생 하게 되었다 . 이에 따라 극한 상황 속 에서 인 간 존재 의 의미 를 묻는 실존주의 문학 을 둘러싼 논쟁 이 일어났다 작가 들 은 전쟁 이 얼마나 사람들 을 피폐 하게 만드는 카 , 그리고 그 피폐 와 허무 속 에서 인간 이 다시 살아 나갈 수 있는가를 물었다 . 이 과정 에서 인간 의 본질 에 대한 이해 가 깊어 졌으며 , 이러한 상황 을 극복 할 수 있는 방법 으로 인간 에 대한 애정 이 제시 되었다 . 비평 에서도 실존주의 문학 을 둘러싼 논 의가 활발 했으며 그 가운데 독립된 자주 국가 의 문학 으로서의 민족 문학 이 세계 문학 과 의 관련성 속 에서 논의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