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미국의 사회·경제학자 베블렌(Veblen)은 값이 오를 때 과시적 소비행위 때문에 그 수요가 오히려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이른바 '베블렌 효과'다. 허영심이 수요를 만들고, 그 수요가 가격을 올리고, 높아진 가격은 허영심의 필요충분조건이 된다.
불황이라고들 하지만 '사치품'의 인기가 어느때보다 뜨겁다. 700만원을 웃도는 샤넬의 인기 핸드백은 없어서 못팔고, 하룻밤 숙박료가 50만원을 웃도는 럭셔리 호텔 브랜드가 처음으로 국내에 진출해 서울 광화문 중심가에 오픈했다. 올해 상반기 벤틀리, 롤스로이드 같은 럭셔리카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각각 36%, 68% 늘며 급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유명 핸드백 브랜드나 고급 패딩 재킷 브랜드들은 한국에서만 '한정판' 제품을 내놓을 정도로 한국의 명품족은 글로벌 브랜드들의 VIP가 돼 가는 추세다.
대표 럭셔리 브랜드인 샤넬의 행보가 대표적이다. 샤넬의 2.55 빈티지, 그랜드샤핑, 보이백 등 인기 핸드백은 이달 초 최대 7% 가격을 인상했다. 올해 3월 시끌벅적하게 20% 가격인하를 단행한 지 8개월도 채 안돼서다. 국내 브랜드였다면 엄두도 못낼 만큼 값이 춤을 춘다. 한 술 더 떠서, 샤넬은 매년 1, 2회는 가격을 조정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가격을 올릴지 내릴지, 그 시기가 언제가 될 지는 본사의 뜻에 달려있다.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미국의 사회·경제학자 베블렌(Veblen)은 값이 오를 때 과시적 소비행위 때문에 그 수요가 오히려 증가한다고 주장했다. 이른바 '베블렌 효과'다. 허영심이 수요를 만들고, 그 수요가 가격을 올리고, 높아진 가격은 허영심의 필요충분조건이 된다. 불황이라고들 하지만 '사치품'의 인기가 어느때보다 뜨겁다. 700만원을 웃도는 샤넬의 인기 핸드백은 없어서 못팔고, 하룻밤 숙박료가 50만원을 웃도는 럭셔리 호텔 브랜드가 처음으로 국내에 진출해 서울 광화문 중심가에 오픈했다. 올해 상반기 벤틀리, 롤스로이드 같은 럭셔리카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각각 36%, 68% 늘며 급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유명 핸드백 브랜드나 고급 패딩 재킷 브랜드들은 한국에서만 '한정판' 제품을 내놓을 정도로 한국의 명품족은 글로벌 브랜드들의 VIP가 돼 가는 추세다. 대표 럭셔리 브랜드인 샤넬의 행보가 대표적이다. 샤넬의 2.55 빈티지, 그랜드샤핑, 보이백 등 인기 핸드백은 이달 초 최대 7% 가격을 인상했다. 올해 3월 시끌벅적하게 20% 가격인하를 단행한 지 8개월도 채 안돼서다. 국내 브랜드였다면 엄두도 못낼 만큼 값이 춤을 춘다. 한 술 더 떠서, 샤넬은 매년 1, 2회는 가격을 조정할 것이라고 엄포를 놨다. 가격을 올릴지 내릴지, 그 시기가 언제가 될 지는 본사의 뜻에 달려있다.
การแปล กรุณารอสักครู่..
